목록해외여행 (25)
애싼이반이렌

라오스는 인구 755만명, 면적 2,368만의 작은 나라이다. 라오스의 관광지는 여러 곳이 있을 수 있으나 아무래도 가장 유명한 관광지는 방비엥이 아닐까 싶다. 라오스의 방비엥은 다양한 엑티비티를 즐길 수 있는 도시이며 특히 카약과 롱테일보트가 인기 있다고 한다. 당연 국제적으로 많은 관광객이 찾고 있으며 관광객이 증대되면서 사건, 사고들이 발생하고 있다. 근래에 술을 마신 외국인 관광객이 연속적으로 사망하는 사고가 발생하였다. 사망 이유로는 메탄올이 든 술을 마신 것으로 전해진다. 사망한 외국인들은 라오스 보드카를 무료로 마신 후 건강이 급격히 악화되었고 병원에서 사망하였는데 현재까지는 총 4명이다. 이에 미국은 라오스를 여행하는 미국인들을 대상으로 건강 경보를 발령하였고, 영국은 라오스 여행객 안내 ..

한국인은 199개국 중 193개국을 사전에 비자 발급 없이 방문 등이 가능하다. 이는 여권지수 2위에 해당하고, 1위는 일본, 싱가포르, 프랑스, 독일 등이 있다. 한국인이 자유롭게 입국할 수 있더라도 방문할 나라마다 무비자 체류 가능 일자가 모두 상이하다. 그래서, 사전에 분명하게 체류 가능한 일자를 확인할 필요가 있다. 한국인이 비자 없이 방문할 국가의 국민도 한국을 방문 가능한지 여부를 확인해 보면 그렇지 않다. 외국인이 무비자로 한국에 입국할 수 있는 국적은 아래와 같다. 지역아주지역(9개)미주지역(32개)유럽지역(43개)아프리카·중동지역(16개)대양주 (13개) 대만(90일/상호주의)브루나이(30일/상호주의)일본(90일/상호주의)마카오(90일/상호주의)싱가포르(90일/협정)홍콩(90일/상호주의..

남아프리카 공화국 줄여서 남아공이라 불린다. 남아공은 인구 5,919만 명으로 세계에서 24번째로 인구가 많은 국가이다. 2021년 남아공에 체류하는 한국인은 영주 1,313명, 일반체류 내지 학생 2,044명 총 3,357명이다. 아프리카 대륙의 나라 중 한국인이 가장 많이 거주하고 있는 나라이다. 한국인이 남아공 여행시 30일 무비자 입국이 가능하고, 30일을 초과하거나 주재원 등은 주한 남아공 대사관에서 비자를 발급받아 입국하여야 한다. 남아공 입국시 몇 가지 주의사항이 있는데, 그 내용은 아래와 같다. 1. 유효한 여권 : 기계 판독 가능하며, 미사용 사증 페이지가 2쪽 이상 남아있어야 하고, 여권 만료일이 남아공 방문을 마친 후 남아공을 출국하는 시점으로부터 30일 이상 남아 있어야 한다.2..

여권법 제17조 제1항 외교부장관은 천재지변·전쟁·내란·폭동·테러 등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국외 위난상황(危難狀況)으로 인하여 국민의 생명·신체나 재산을 보호하기 위하여 국민이 특정 국가나 지역을 방문하거나 체류하는 것을 중지시키는 것이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때에는 기간을 정하여 해당 국가나 지역에서의 여권의 사용을 제한하거나 방문·체류를 금지(이하 “여권의 사용제한 등”이라 한다)할 수 있다. 다만, 영주(永住), 취재·보도, 긴급한 인도적 사유, 공무 등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목적의 여행으로서 외교부장관이 필요하다고 인정하면 여권의 사용과 방문·체류를 허가할 수 있다. 여권법 제26조제17조 제1항 본문 및 제2항에 따라 방문 및 체류가 금지된 국가나 지역으로 고시된 사정을 알면서도 같은 조 제1항 단서에..

소매판매 목적으로 제공되는 재화 및 서비스의 가격표와 메뉴판의 형식, 내용, 사용법 그리고 할인판매에 관한 절차와 원칙을 정하는 것은 소비자들의 경제적 이익 보호와 정확하고 완전한 정보제공의 측면에서 중요성을 지니고 있다. 메뉴판은 고객의 선택을 받도록 하기 위함이기도 하며, 가격표는 고객과 판매자 입장에서 신뢰의 문제이기도 하다. 최근에는 식음료 서비스를 제공하는 업소의 재화 및 서비스 가격이 물가상승률에 힘입어 계속적으로 인상되고 있으며, 이러한 변동으로 인해 가격표 및 메뉴판을 통한 소비자에 대한 정확하고 완전한 정보 제공과 경제적 이익이라는 기본목적의 실현이 저해되고 있는 상황이 초래되고 있다. 특히, 튀르키예의 경우 위 문제와 관련하여 많은 민원이 제기되어 튀르키예 무역부가 2023년 연초부터 ..

자국이 아닌 타국의 여행은 매우 조심스러워야 한다. 모든 나라가 한국과 같지 않으며 시민들의 인식과 문화 등이 전부 다르기 때문이다. 대만의 경우, 한국인이 관광 목적으로 방문 시 90일 동안 무비자 체류가 가능하다. 다만, 입국 시 여권 유효기간이 6개월 이상 남아있어야 하고, 왕복항공권이나 다음 행선지의 항공권을 지참하여야 한다. 1일이라도 불법체류 기록이 있을 경우, 향후 1년간 무비자 입국 불허대상이므로 입국 적 대만 대사관을 방문하여 비자를 발급받아야 하는 상황이 초래된다. 대만 통화는 원(NTD0이며, 지폐는 100, 500, 1000원 단위로 발행되고, 보조주화(동전)는 1, 5, 10, 50원 단위가 통용된다. 대부분의 식당이나 상점에서 신용카드를 사용 가능하나, 일부 상점에서는 일정 금액..

각국 나라의 비자 발급 절차, 필요 서류를 확인하기 위해 대사관 홈페이지를 찾아보는데, 모로코는 대사관에서 운영하는 홈페이지를 찾을 수 없었다. 한국 사람들이 일단 모로코에 많이 체류하지 않고 있는데, 비자 발급을 위한 필요서류가 무엇인지 확인할 수가 없어서 주 모로코 대한민국 대사관 홈페이지에서 모로코 장기비자 신청에 필요서류를 확인하였다. 장기비자 신청자격은 16세 이상으로 모로코에 입국 후 3개월 내에 소재지 경찰서에 신청하여야 한다고 한다. 구비서류는 아래와 같다. 신청서 및 인적사항 서식 각 2부 (소재지 경찰서 비치)를 기본으로 본인 상황에 맞는 서류 3부를 제출하여야 한다. 1. 고용부에서 확인된 회사 또는 기관과의 고용계약서 (개인, 근로자)2. 사업자면허 사본 (사업자)3. 입학허가서 또..

2022. 6월부터 2024. 12. 31.까지 몽골을 '관광 목적'으로 방문하는 한국인에 대하여 '한시적'으로 무비자 입국이 가능하다. 관광목적 외의 몽골 방문은 당연 비자가 필요하고, 관광 목적 방문에도 올해까지만 무비자 입국이 가능하므로 앞으로는 몽골 방문에는 무조건 비자를 발급 받아야 된다. 몽골 비자의 종류는 아래와 같다. 몽골 비자 종류 №비자 종류1A1관용 목적으로관용 여권 소지자 및 관용 목적으로 방문할 외국인 주몽골 공관 목적으로 방문할2A1-1관용 여권 소지자 및 관용 목적으로 방문할 외국인, 주몽골 대사관 및 영사과 목적으로 방문할 관용 여권 소지자, 일반 여권 소지자, 파란색 LESE PASE 소지하는 UN 및 UN 대표사무소 직원 및 직책자3A2외국 및 국제 언론 기관 및 정보 기..

한국 생활의 고단함 때문인지 나뿐만 아니라 주위의 친지들은 해외생활에 대한 로망을 가지고 있다. 해외생활 몇 개월은 아마도 행복할지 모르겠다. 처음에는 거주국의 문화와 사회인식의 다름은 설렘과 같이 느껴지나 곧이어 그 다름은 불편과 불만으로 변한다. 그 이후에는 역이민을 고민하게 될 것이다. 한국인이 해외에 영주 하는 인원수는 2021년 기준으로 5,831,667명이다. 이중 2,102,526명이 중국에 영주하고 있다. 의외로 중국에 대한 반감을 가진 한국인들이 많은 것에 반해 중국에 영주 하는 한국인은 해외 영주하는 한국인 중 가장 많다. 일본에는 726,830명의 한국인이 거주하고 있고, 일반인들에게 다소 생소한 투르크메니스탄에는 917명의 한국인이 영주하고 있다. 비트코인을 법정화폐로 채택하고 범죄..

그 나라의 언어가 능숙하지 않다면, 어떠한 문제도 해결할 수 없다. 누군가에게 도움을 요청할 수 있다면 다행이겠지만, 현실적으로 도움을 요청할 곳이 있는 경우는 거의 없다고 봄이 타당하다. 범죄피해 등 부당한 피해를 당했을 경우 한국 대사관이 유일하게 떠오르는 도움처일 것이다. 한국 대사관에서도 모든 문제를 해결해줄 수는 없으나 어느 정도 도움은 될 수 있다. 한국인이 범죄피해를 당한 경우 한국 대사관에서는 아래와 같은 도움을 줄 수 있다. ▲변호사ㆍ통역인 정보 ▲주재국 내 변호사 선임절차 ▲범죄피해구제를 위한 주재국 내 제도ㆍ절차를 안내 해외에서 문제가 생길경우 어떻게 대처해야할지 아무런 정보가 없다는 점 때문에 두렵고 막연한데, 그나마 대사관에서 각종 정보를 제공하니 최초 시작 부분만큼은 해소된다. ..